반응형

금속 4

금광업체 : 2021년 금값보다 관심을 둘만한 주식

2019년 금값은 달러를 제외한 다양한 통화 기준으로 고점을 갱신했고 2020년은 달러 기준으로도 새로운 고점을 만들면서 역대 최고 가격까지 올랐었다. 2020년 8월 7일 COMEX의 금값은 온스당 2,099.2 달러라는 역대 최고점에 오른 이후 아래 차트(2021년 2월물, COMEX)와 같이 가격 조정을 2020년말인 현재까지 보이고 있다. 분기 차트로 보게 되면 2008년 4분기에서 2009년 1분기 시작된 금가격 상승은 11분기 연속 상승의 모습을 보였다. 연준을 비롯한 중앙은행들의 소위 양적완화라는 연준의 통화정책과 경제 위기로부터 경제를 부양하기 위한 낮은 금리 정책이 유지되면서 달러대비 금값은 당시로서는 역대 고점까지 올라갔었다. 2020년도의 금값 역대 최고점은 2018년 4분기 부터 시..

금속 2020.12.29

프리포트 맥모란 : 많이 오른 주식

2020년 봄 구리(COMEX, 2021년 1월물)는 펜데믹으로 3월 19일 파운드당 2.0515달러까지 하락했었다. 그 이후 구리는 금속들의 반등을 가장 앞서서 이끌어 왔었고 12월 18일 3.6400달러라는 가격까지 오르기도 했다. 이 가격은 아래 차트에서 보는 것과 같이 2013년 2월 이래 가장 높은 가격이다. 2020년 구리가격의 본격적인 상승은 구리 최대 수요국인 중국이 펜데믹의 영향을 빠르게 극복하면서 경제를 반등시킬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게 만들어 주면서 시작되었던 것처럼 보인다. 이어서 미국과 유럽에서 정부가 경제부양에 나서고 있기에 적극적인 재정정책이 도입되고 인프라스트럭처에 대한 투자가 단행될 것이라는 기대감 또한 존재하면서 구리 가격 상승에 부채질을 하고 있다. 반대 측면에서는 구리 ..

금속 2020.12.20

최근 오르고 있는(미국) 알루미늄 관련주

2020년 미국 대선 결과로 신재생 에너지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유럽에서도 이미 추진 중이고 한국 정부도 자주 언급하고 있는 '그린 뉴딜' 정책이 트럼프 정부에서는 관심 밖의 사항이었지만 당선자인 바이든 후보에게는 중요한 중심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 속에서 구리 관련 업체의 주식도 오르고 있다. 구리의 쓸모가 더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구리의 가격이 오르는 현상은 단지 신재생 에너지에만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닌데 현재로서는 일종의 기대감이 존재하고 있는 듯해 보인다. 중국은 2차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겪지 않았다. 이는 중국의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를 불러 일으키고 있고 중국의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는 막대한 인프라스트럭쳐 투자에 대한 기대와 같기에 이런 산업용 원자재의 가격 오름 현상이 ..

금속 2020.12.06

금생산(금광산) 관련주

금가격은 2020년 8월초 온스당 2,063달러라는 역대 최고가격을 만들고 이후 하락 중이다. 2020년 6월의 1,700달러 즈음에 지지선이 있는데 이 지지선이 지켜질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일 것이다. 현재 고점과 저점이 점점 낮아지고 있기에 바닥을 가늠하는 단계는 아니다. 다만 아래 차트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달러가 지속적으로 하락한다면 2018년 초의 지지선이 깨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금값이 반등할 수도 있을 것이다.(아래 차트의 금은 COMEX의 2021년 2월물이고 달러인덱스는 12월이다) 금이 2020년 역대 최고점에 다시 도전할 수 있을지는 의문인데 반해 금광업체들의 수익성은 현재로서도 금값의 급락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크게 나쁠 것이 없는 상태이다. 2020년은 감염병 확산으로 금 생산에서 ..

금속 2020.12.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