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아보카도 :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작물, 관련주

그때 그때 2020. 12. 4. 17:59
반응형

USDA(미국 농무부)의 데이터로는 3분기 동안 감귤의 수입이 크게 늘어 났다고 발표되었다. 반면 아보카도나 바나나 같은 작물의 수입은 감소했다. 2020년 6-9월까지의 감귤류 수입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0% 증가한 6억8200만달러였다. 귤(mandarins)의 수입은 2억2500만달러로 55%나 증가했고 칠레, 페루, 우루과이 등지에서의 수입이 증가했다. 라임과 오랜지의 수입은 10% 정도 증가했고 레몬은 3% 정도 증가에 그쳤다. 반면 3분기 동안 아보카도의 수입은 5억3100만달러로 26%나 급감했다. 멕시코산의 수입이 4억2400만달러, 페루로 부터의 수입이 1억200만달러 감소하면서 각각 24%, 22% 감소했다. 칠레산 수입은 100만달러 줄어 2000만달러였고 반면 콜롬비아는 400만달러 수출을 보이며 두배 늘었다.

 

반면 AFM(Avocado from, Mexico, 멕시코 아보카도 생산, 가공업체와 미국 수입업체간의 연합)은 이번 회계년도 현재까지(11월말) 멕시코산 매출량이 21억 파운드로 연간 판매 신기록을 세웠고 2021년 동안 23억 파운드를 팔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아보카도의 주된 수요국인 미국에서 미국인들이 글로벌 감염병 확산으로 집에서 더 식사를 하게 되면서 아보카도 판매가 늘고 있다고 말하고 있는데 지난 3월은 갑작스런 펜데믹으로 인해 레스토랑 등의 판매부진으로 아보카도 매출이 40% 감소하기도 했다고 한다. 

 

USDA의 데이터와 AFM의 주장은 각각 달라 보이지만 아보카도에 대한 글로벌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것과 미국에서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같이 말해 주는 것이다.(멕시코산 아보카도의 가격변화가 심할 시기 수입이 감소한 경향을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 2019년 아보카도의 글로벌 시장의 규모는 128억 2400만달러였고 향후 5년 동안 연평균 5%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기도 하다.

 

올해는 몸값을 낮추고 있지만 아보카도의 가격은 지난 몇해 동안 수요 증가로 올라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유지하기도 했다. 지난 20년간 미국인 1인당 아보카도 소비는 2파운드에서 9파운드로 늘었고 슈퍼볼이나 '씽고 데 마요'같은 날 아보카도 수요가 급증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몇년전 높아진 가격은 아보카도를 사용하는 프랜차이즈의 주가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는데 아래 차트는 Chipotle Mexican Grill(CMG, NYSE)의 지난 10여년간의 주식차트이다.

 

치포틀레의 주식가격을 보면 2017-2018년 주가가 많이 하락한 상태를 이어갔었다. 이때가 아보카도 수요 증가로 아보카도의 가격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오르던 때이다. 그리고 올해 아보카도 가격이 낮아지자 주가는 빠르게 상승했다. 아보카도의 재배는 최근 몇년 아시아 등지로 확대되어 있다. 산지가 확대된 것이 최근 가격이 낮아진 이유일 수 있기에 언급하는 것이다.

 

위 차트는 미국 식자재 유통업체인 Calavo Growers(CVGW, NASDAQ)의 주가 차트이다.(파란 실선은 치포틀레.) 캘러보의 매출의 절반 이상이 신선식품에서 나오고 있고 여기에 아보카도가 포함되어 있다. 소매상과 레스토랑과 오랜 거래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장점일 것이나 현재의 주가가 보여주듯이 전염병의 확산은 주가에 아주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Fresh Del Monte Produce(FDP, NYSE) 또한 2020년 주가가 오르지 못하고 있는 주식 중 하나다. 사유는 위와 같이 전염병 확산우려 때문이다.

 

Hormel Foods Corp(HRL, NYSE) 또한 식품 유통을 하고 있고 여기에 신선식품이 포함되어 있으며 아보카도 또한 포함되어 있다. 이 회사는 위의 회사들처럼 펜데믹으로 인한 타격이 크지 않은데 신선식품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Grupo Herdez Sab DE Cv(GUZOF, US OTC)가 장외시장에 상장되어 있으며 최근 Mission Produce Inc(AVO, NASDAQ)이 상장되어 있다. 후자는 아보카도에 대한 비중이 아주 높은 회사이다.

 

   

멕시코의 하스 아보카도(Hass Avocados)의 주된 산지는 미초아칸으로 연간 4번 추수를 하고 있다.(캘리포니아 같은 산지는 한차례 정도의 추수에 그침) 미국으로의 이민자의 행렬이 줄을 잇던 곳에서 아보카도가 미초아칸의 역할을 바꾸어 주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아보카도의 생산지가 각국으로 확대되어 있지만 열대 작물 중 특이한 생육환경을 가지고 있기에 확산이 빠르지 못할 수 있다. 또 우림의 파괴가 정치적 관심의 중심에 놓이게 되면 현재 확대되고 있는 생산지가 더 늘어날 수 없을 수도 있다. 

반응형